-
유종호, "작은 것이 아름답다"책 읽는 즐거움 2025. 2. 25. 01:27
.
유종호, "작은 것이 아름답다: 시, 깊고 넓게 겹쳐 읽기"(2019)
"작은 것이 아름답다: 시, 깊고 넓게 겹쳐 읽기"(2019)는 유종호 교수의 저서로는, 책이 나온 해에 사서 읽은 "서정적 진실을 찾아서"(2001), 그리고 서울에 머물던 2017-18년 겨울에 읽은 "내 마음의 망명지"(2004)와 "시란 무엇인가"(2016)에 이어 네 번째로 읽은 책이다.
다 저자의 인문학 읽기와 문학 사랑을 말해주는 산문집이다 보니, 예를 들어, 이 블로그의 포스트 "서울에서 책 읽기 2"에서도 지금 다시 읽어보는 "음악 없는 삶은 하나의 오류"라고 한 니체와 "번역을 통해서 잃어버리게 되는 것이야말로 시"라고 한 프로스트의 인용, 그리고 아이자이아 벌린과 알렉산더 게르첸(Herzen)에 대한 경의의 언급 등을 이 책에서도 또 만나게 되는 것이 자연스럽고 반가웠다. Isaiah Berlin, "The Proper Study of Mankind: An Anthology of Essays"와, 특히, 덴버대 "The Book Stack"에서 우연히 발견한 "The Memoirs of Alexander Herzen Vol. III"를 얻고서 무척 좋아했던 건 유 교수의 책 이후 그들의 책을 찾고 있은 때문이었다.
(벌린의 저 책을 펼쳐보는데, 에세이 "The Pursuit of The Ideal"에서 'Russian radical' 게르첸의 에세이 From the Other Shore를 인용한 구절이 있다. 그중 내가 밑줄 친 부분만 그대로 옮기면:
[A] goal which is infinitely remote is no goal, only ... deception; a goal must be closer -- at the very least the labourer's wage, or pleasure in work performed.)
"작은 것이 아릅답다"의 '책머리에' 글에서 저자는 "시 읽기의 즐거움을 공유하기 위해서 쓰인 이 책이 어느 정도의 공감을 일으킬지는 의문이다"라고 쓰고 있는데, 이 책 독자들이 시를 즐기는 능력이나 시적 감수성에서 저자와, 또는 문학비평가와, 사실 별다르지 않거나 그 안팎일 거란 생각이 든다. ( 좋은 시인처럼은 독자를 믿지 못해서 어떤 비평가는 시인이 아닌지도 모르겠다.)
특기할 만한 것은, 이 책에서 루크레티우스의 시편 "사물의 본성"에 대해서(pp. 47-58), 그리고, 오래전 어디선가 한두 편만 읽은 적 있는, 서정주 "질마재 신화"의 시편들을 "그 애가 물동이의 물을 한 방울도 안 엎지르고 걸어왔을 때"(p. 359), "신발"(p. 362) 등 꽤 여러 편 읽을 수 있었다.
유종호 교수의 글에서 자주 또는 종종 만나는 단어 중에, 그게 쓰인 문장이 영문이라면 그냥 자연스레 읽힐 것이, 내게는 좀 생경하거나 우리 글에서 실제 그 뜻으로 많이 쓰이는지 나는 모르겠는 단어들이 있다. 내가 해외에 살면서 우리 책을 아주 드물게나 접하는 탓을 하면서, 그 단어들 사용하기를 배우는 즐거움이 있다. 이 책으로부터는 "'뚜왈랄랄 뚜왈랄랄' 같은 의성음의 발명"의 '발명'과 "'불씨' 같은 어사의 참신성"의 '어사'를 기억한다.
아래에 본문에서 좀 많이 인용한다:
널기와 지붕에
돌을 얹어 놓은 집들
가녀리게 마른가자미 굽는 냄새가 나는
고향의 호젓한 점심때다.
휑하니하얀다 거리를
산 눈 팔이 행상이 혼자서 가고 있다.
--- 다나카 후유지, "고향에서"에서 [책에는 전문 인용] (p. 17)
[토마스 만은] 흥미 있게도 프로이트와 결별한 카를 융을 인용함으로써 프로이트의 통찰을 집약적으로 제시한다. "주어진 조건의 부여자는 우리 내부에 존재하고 있는데 모든 크고 작은 증거에도 불구하고 이 사실은 의식되는 법이 없다. 꼭 의식하는 것이 필요하고 또 불가결한데도 말이다." 요컨대 우리에게 일어나는 일이 사실은 우리가 저지르는 일이라는 것이다. (p. 36)
한국의 노인은
아직도
변소에 갈 때
천천히 자리를 뜨며
"총독부에 갔다 온다"
고 말하는 이가 있단다.
--- 이바라키 노리코, "총독부에 갔다 온다" 에서 [책에는 전문 인용] (p. 128)
어디엔가 아름다운 마을이 없을까
하루 일이 끝나면 한 잔의 흑맥주
괭이 기대 세우고 대바구니 내려놓고
남자도 여자도 큰 머그잔 기울이는
어디엔가 아름다운 읍내가 없을까
먹을 수 있는 열매가 달린 가로수가
끝없이 이어지고 제비꽃빛 초저녁이
청춘의 부으러운 속삭임으로 차고 넘치는
--- 이바라키 노리코, "유월"에서 [책에는 전문 인용]
친근하고 서정적이면서도 예기와 간결함이 깔려 있는 시편이다. 공연한 허세가 없고 소박하면서도 당찬 울림이 있다. (p.39-140)
시의 가치는 감정 고양에 정비례한다. 그러나 모든 고양된 감정은 심리적 필연 때문에 짤막하기 마련이다.
['짤막함의 힘'을 말하며 에드거 앨런 포의 "시의 원리"에서 인용한 부분에서] (p. 147)
나는 아무와도 다투지 않았다, 다툴 만한 상대가 없었기 때문.
나는 자연을 사랑했고, 그다음으론 예술을 사랑했다.
나는 생명의 불길에 두 손을 쪼였다.
그 불이 가물거린다. 나는 떠날 채비가 돼 있다.
--- 월터 새비지 랜더, "나는 아무와도" 전문 (p. 153)
앉아 있는 여인이 있는가 하면
예제로 움직이는 여인도 있다.
혹은 늙고 혹은 젊고.
젊은 여인들은 과시 아름답지만
나이 먹은 여인에겐 댈 수 없구나.
--- 휘트먼, "아름다운 여인들" 전문 (p. 155)
새벽에 일어나 무릎을 꿇고 불씨가
번득이며 반짝일 때까지 입김을 분다
--- 예이츠, "노모의 노래"에서 [책에는 전문(?) 인용] (p. 164)
Apparition of these faces in the crowd:
Petals on a wet, black bough.
--- 에즈라 파운드, "지하철 역에서" (p. 171)
마른 가지에 까마귀 내려앉은 가을 어스름
--- 바쇼 (p. 197)
[그 작곡가는] 레슨이은가 끝난 후 쿤데라를 배웅하더니 문가에 서서 갑자기 쿤데라에게 말하였다.
베토벤에게는 놀랄 만큼 취약한 대목이 많다, 그러나 강력한
대목을 돋보이게 하는 것은 바로 이 취약한 대목이다. (p. 202)
오늘은 왜 이리 기분이그늘과 좋은가
이 햇빛과
바람에 설레이는 푸른 그늘과
나무통만 있복한으면
나는 행복한 디오게네스
--- 수연 박희진, "디오게네스의 노래"에서 (p. 303)
'책 읽는 즐거움'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ya Angelou, "All God's Children Need Traveling Shoes" (0) 2025.03.10 Adam Rutherford, "A Brief History of Everyone Who Ever Lived" (0) 2025.03.04 "작별하지 않는다" "Behind You Is the Sea" (0) 2025.02.17 Anne Tyler (0) 2025.02.17 Angela Merkel, with Beate Baumann, "Freedom" (0) 2025.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