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읽는 즐거움
-
Hisham Matar, "The Return"책 읽는 즐거움 2025. 7. 2. 13:10
. Hisham Matar, "The Return: Fathers, Sons and the Land in Between" (2016) 뉴욕 타임즈 서평 위 서평에서: Jaballa Matar was a leading Libyan dissident who was kidnapped in 1990 by agents working for Muammar el-Qaddafi, that country’s dictator, and sent to the notorious Abu Salim prison in Tripoli. Friends and political supporters risked their lives to smuggle out the occasional letter from him, but after a ..
-
Nishanth Injam, "The Best Possible Experience"책 읽는 즐거움 2025. 6. 12. 02:26
. Nishanth Injam, (단편집) "The Best Possible Experience" 우리나라에 머무는 동안이나 출국하는 비행기 안에서 읽은 책들은 거의가 우리 단편집이었다. 그런데 여기(미국)서는 소설(fiction)은 보이는 게 novel(장, 중편 소설)이고 단편(story)은 좀처럼 눈에 띄지도 않다 보니 아주 가끔이나 단편집을 읽게 된다. 인도나 미국에서의 인도인 이야기들인 Nishanth Injam의 이 단편집을 읽으면서, 유난스레, 한국 단편집을 읽는 그런 느낌이 든 것이 특이했다. 이야기의 구성과 스타일에 비슷한 점이 있어서일까. 한국계를 포함해서 여러 나라 계통 미국 작가들의 단편을 읽었지만, 달리 그랬던 기억이 없다. 인도 사회의 옛(?) 카스트 제도에 따른 현재의 사람 ..
-
Chimamanda Ngozi Adichie, "Americanah"책 읽는 즐거움 2025. 6. 6. 00:37
. Chimamanda Ngozi. Adichie, "Americanah" (2013) 소설 속 나이지리아 사회가 한국을 2, 3 십 년쯤 뒤따르고 있는 것 같은 여러 면도 내겐 재밌게 읽혔다. New York Times 서평 위 서평에서: What’s the difference between an African-American and an American-African? From such a distinction springs a deep-seated discussion of race in Chimamanda Ngozi Adichie’s third novel, “Americanah.” Adichie, born in Nigeria but now living both in her homeland and..
-
Joseph Jebelli, "How the Mind Changed"책 읽는 즐거움 2025. 5. 8. 22:41
. Joseph Jebelli, "How the Mind Changed: A HumanHistory of Our Evolving Brain" (2022) The Times 서평 본문에서 Natural histories are at the mercy of scientific breakthroughs, and the speed of these breakthroughs is accelerating more than any time in the history of science. The more we investigate -- and this is what I love about science -- the more we uncover what we don't know, and this spurs us to e..
-
Peter Beinart, "Being Jewish After the Destruction of Gaza"책 읽는 즐거움 2025. 4. 25. 08:20
. Peter Beinart, "Being Jewish After thr Destruction of Gaza: A Reckoning" (2025) The Guardian.서평 가자 파괴 이후 유태인이기. 유태인이고 CUNY 저널리즘 & 정치학 교수인 Peter Beinart의 이 책이. 특히 유태인들을 포함해서, 많은 이들에게 읽히면 좋겠다. 본문이 다만 121쪽인 작은(쪽당 300 단어 정도, 보통 책은 ~470 단어) 책에 내용이 군더더기 없이 알차고 저자의 주장과 논거가 명료, 합리, 공정해서 유쾌하고 빠르게 읽힌다. Passover, Chanukah, Abraham, Joshua, 그리고 Esther와 Purim 이야기나 Talmud에서의 인용도 적절하고 재밌다. 즐겁게 읽고 있던 두 책 -- ..
-
Maya Angelou, "I Know Why the Caged Bird Sings"책 읽는 즐거움 2025. 4. 22. 11:28
. Maya Angelou, "I Know Why the Caged Bird Sings" (1969) 우리 동네 도서관 라운지는 커피숍이기도 하지만 기증받은 책들을 3-4불에 파는 서점이기도 한데, 여기서 눈에 띄어 산 책들 중에는 Maya Angelou의 이 책(이 달에), All God's Children Need Traveling Shoes(지난달에), 그리고 시집(11년 전에)도 있고 Joseph Epstein의 The ideal of Culture(2018에)와 A Literary Education(2019에)도 있다. 이 다섯 책들이 내겐 다 재밌었고, 아무튼, 다 'literary interest'였다. 한 흑인 여성 Maya Angelou 그리고 한 유태인 남성 Joseph Epste..
-
Jeff Hawkins, "A Thousand Brains"책 읽는 즐거움 2025. 4. 7. 00:01
. Jeff Hawkins, "A Thousand Brains: A New Theory of Intelligence" (2021) 서평 (by Kumar Vivek) 이 책 'Part 1: A New Understanding of the Brain'을 읽었다. 저자가 2004년 저서 "On Intelligence"에 제시한 이론틀에 'dendritic spikes'에 대한 해석과 'reference frame' 개념을 추가해 새로 정리한 'Thousand Braiins Theoy of Intelligence'가 그 내용이다. 본문에서: Today I no longer use the phrase "the memory prediction framework," Instead, I describe the sa..
-
Kohei Saito, "Slow Down"에서 | T. Piketty 책 서평책 읽는 즐거움 2025. 4. 5. 08:04
. Kohei Saito, "Slow Down: The Degrowth Manifesto" (일어 원서 2020; 영역본 2024)일어 원서 제목은 "인류세의 자본론 Capital in the Anthropocene"한역판은 "지속 불가능 자본주의"(2021) 전에 온라인에서 사이토 고헤이의 "인류세의 자본론" 포스트를 읽고서 여기 영역본이 나오면 살펴보려고 'bookmark'해 두고는 잊고 있었는데 지난주 어쩌다 생각이 나서 마침 책이 도서관에 있길래 빌려왔다. 여기저기 골라 읽어보기 -- 브라우징 browsing -- 해보니 책을 다 읽을 필요는 없겠다. (그런데, 'browsing'에 해당하는 적당한 우리말이 없을까?) 책에서 몇 구절만 인용한다. We can also think about th..
-
Jeff Hawkins, "On Intelligence" | Autism과 뇌책 읽는 즐거움 2025. 4. 3. 08:31
. On Intelligence Jeff Hawkins, with Sandra Blakeslee, "On Intelligence" (2004) MIT Technology Review: Conversation With Hawkins On AI & Brain Neocortex는 높이 2.5mm, 단면 1mm X 1mm인 기둥(neocortical column)들을 (세워) 테이블 냅킨 크기가 되도록 옆으로 포갠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 책에서 저자는, neocortical column들이 기본적으로는 다 'a common algorithm'으로 작동한다는 Vernon Mountcastle의 1978년 가설에 기초해서, neocortex 기능 이론의 뼈대(framework)를 제시한다. 위의 MIT 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