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스팀한 당근을 먹다가
    짧은 글 2014. 8. 25. 04:29

     

    요새 우리 집 식탁에 자주 오르는

    스팀한 새끼 당근의 그냥 그 맛이 은근히 맛있다,

    설익게 쪄진 고구마 같은 맛도 난다.

     

    구운 감자도 스팀한 브로컬리도

    소금만 쳐서 구운 고기도

    그냥 제 맛으로 참 맛있다.

     

    돌마다나

    사람마다의

    아름다움이란 어떤 걸까.

     

    그런데 당연한 얘기지만,

     

    아주 고급 차를 몰거나

    터무니없이 값비싼 명품 가방을 들었거나

    그래서 더 멋져 보이는 사람도 -- 본 적은 없고

    상상도 잘 안 되지만 -- 있을 거고

    그 반대인 사람도 있을 거다.

     

    낯설던 사람이 친한 사람이 되고

    낯설던 것들이 낯익은 것들이 되고

    좋아하게 되는 건 참 좋은 일이다.

     

     

     

     

     

     

     

    Hopper, Cape Cod Sunset.

     

     

     

    -----------------------------------------------------------------------------------------------------

     

    • sellad (세래드)2014.08.25 04:58 

      "좋아하게 되는건 좋은일이다" 따스한 말씀 입니다^^

      • 노루2014.08.26 23:19 

        그런 걸 따스하게 느끼는 것도 참 좋은 일이지요? ㅎ

    • 헬렌2014.08.25 05:28 

      당근은 생으로 먹어도 좋고, 볶아 먹어도 좋고, 설익혀 먹어도 좋고.
      요리에 넣기 전에 반쯤은 그냥 들고 먹거나, 하나가 필요해도 두세개는 깎아 식구들 손에 쥐어주죠.
      일주일에 한두봉지씩은 꼭 사게 되는 당근. 당근도 감자도 모두 다 우리집에선 인기 품목이에요.

      콩껍질이 처음엔 무슨맛으로 먹나 했는데.. 요즘은 그 맛이 익숙해져서 저 역시 낯선게 좋아지는 좋은 경험이 되었어요.
      낯선곳에서 살아가면서 하나씩 익숙해지는 지금의 삶이.. 모든 것이 익숙해지면 지금의 과정이 행복했다고 돌아볼 수 있을까요? 낯설던 것들이 좋아지면 참 좋겠어요^^
      노루님의 먹거리 이야기.. 따뜻하고 좋습니다.

      • 노루2014.08.26 23:44 

        아무것도 아닌데 뭐, 싶으면서도 그게 싫어서,
        그 짧은 시간이지만 그러고 있는 게 답답해서,
        당근 껍질 베끼지 않으려고 요샌 늘 (새끼 손가락
        반 크기의) 베이비 당근을 스팀하는데 간단함이
        맘에 들어요.

        있는 그대로도 좋은 맛이 멜론 속살의 그 달콤함
        말고도 많더라고요. ㅎ

    • willowpond2014.08.25 07:38 

      제가 좋아하는 화가중의 한사림입니다.Hopper..

      노루2014.08.26 23:51 
      Hopper 의 그림에서는 저는 이야기가 느껴져요.
      한 사람이나 두 사람이 들어 있는 그림들이 더 그럴지도
      모르지만 집이나 풍경을 그린 그림에서도요.
    • 파란편지2014.08.25 15:09 

      "돌마다나 / 사람마다의 / 아름다움이란 어떤 걸까."
      "낯설던 사람이 친한 사람이 되고 / 낯설던 것들이 낯익은 것들이 되고 / 좋아하게 되는 건 참 좋은 일이다."
      임어당의 <생활의 발견>이 생각나게 했습니다.

      저는 걸핏하면, 모든 일에서 아이들을 한 줄로 세우려는 우리 교육에 진저리를 치면서
      교실 가득 들어차 있는 아이들을 바라보고 한숨을 쉬었습니다.
      그 아이들을 바라보면, 자세히 보면, 모두들 다 의미를 지닌 인격이었습니다.
      이렇게 말하면 "그럼 내가 벌레인줄 알았는가?" 되묻겠지만,
      사실은 줄을 세워보고, 저 뒤에 있는 아이들은 벌레 취급하기도 한 것이
      우리 교육이 폐단이 아니었는가 생각합니다.
      제가 떠나온 그곳이 지금은 어떻게 되었는지, 좀 변했는지, 좋아졌는지 모르겠습니다.

      이런 생각을 하면서, 저 Hopper라는 화가가 본 세상은 어떤 것이었는지,
      말하자면, 저렇게 몽환적인 아름다움을 지닌 것이었는지,
      그렇지는 않기 때문에 저런 아름다움을 추구한 것이었는지 궁금했습니다.

      "돌마다나 / 사람마다의 / 아름다움이란 어떤 걸까."
      이것이 멋진 생각이라는 걸 알면 좋을 것입니다.

      • 노루2014.08.27 01:14 

        저녁 무렵엔 사실 '저렇게 몽환적인 아름다움'의 시간이 있잖아요. 저는 저런 그림을,
        특히 그 창문들을, 보면서는 거기 사는 사람들에 대한 막연한 느낌을 가져요.

        (집에 있는 책 Wieland Schmied, 'Edward Hopper; Portaits of America' 를 펼져
        보니) Hopper는 1920년대와 30년대 미국을 그렸다네요. 문학 쪽에 비슷한 사람을
        말하는 게 적절한지는 모르지만 그 경우엔 미국 시인 William Carlos Williams 나
        Robert Frost 일 거라고요. 그러나 Hopper 가 가장 '지적으로 친밀하게 느낀 저자는
        미국의 작가-철학자 Ralph Waldo Emerson 과 Henry David Throreau 였다고요.

        먹고 살기 위해선 일을 해야 하지만, 그리고 그것도 일의 즐거움이 되기도 하지만,
        일 자체의 즐거움이나 일의 다양성, 그리고 그보다도 삶 자체의 즐거움이나 (수평적인)
        다양성에 대해선 이젠 우리 사회에서도 충분히 경험하고 누리고 했을 텐데도 아직
        서열의식에 지배 받고 있는 것 같은 게 답답하기도 하고 이상해요.

      • 파란편지2014.08.27 08:28 

        '행복'이라는 단어를 쓰는 것조차 매우 까다롭게 여기는 사람들이 있긴 하지만,
        그저 단순한 의미로 받아들여도 좋다면, "행복한 게 좋지 않느냐?" "행복하게 지내자"고 해도 좋을 텐데
        그저 죽어라 하고 겨루는 데 혈안이 되어 하루하루를 보내려는 사람들,
        그 사람들이 선두에 서서 독촉하고 재촉하고 분위기를 잡아갑니다.

        노루2014.08.27 23:00 

        그렇지요, 행복하게 지내면 되지요. 그리고 행불행은 내가 그런 거고,
        적어도 평상시에는, 근본적으로 남이 어떻게 할 수 있는 게 아니잖아요.
        아주 가까운 사람들과의 관계는 예외겠지만, 남의 생각이나 남이 잡는
        분위기 때문에 내 행복이 쉽게 영향 받을 게 아닌데 ... '내가 내 삶의
        주인 (It's your life)'이라는 생각을 자녀들이 일찍이부터 갖게 하고 또
        '그렇게 대우해 주는 것'이 좋은 거 같아요.

    • eunbee2014.08.25 18:25 

      별로 낯선 것이 없다는 생각으로 모든것에 적응 잘한다고 스스로 여기며 살았는데
      알고 보니, 살아보니, 겪어보니, 나이드니, 잘 생각해 보니 모든것이 낯선 것이더라고요.ㅎㅎ
      무엇이든 잘 친해진다고 생각했는데, 더더구나 그것이 아니더라고요.
      내 자신이 나를 너무도 모르고 살았던가봐요.

      그러나 먹는 것 앞에서는 그 무엇과도 잘 친하는....ㅎ
      친해 보고 싶은...ㅎ

      당근 스팀해서 먹는 것 또 한가지 배웠어요.
      언젠가도 브로컬리 스팀해서 김치로 먹는 것 배웠었지요.^^
      루이지애나 소스를 못찾아서 그냥 '대강 소스'로 먹지만.ㅋ

      • 노루2014.08.27 02:00 

        "잘 생각해 보니 모든 것이 낯선 것," 사실은 그렇기도
        하지요. 그리고 낯익어진다는 건, 어쩌면, 이해하게
        된다는 것 이전에 인정하게 되는 거 아닌가 모르겠어요.

    • 깜이河河2014.08.28 17:42 

      만약 집 짖는다면 Hopper 의 이 그림을 설계사에게 보여줘야겠습니다
      한두 계단 올라가 현관 있는것이 맘에 들고 하얀벽과 창문 많고 크지 않은 집 같아 좋은걸요
      아직도 이런 헛꿈을 꾸고 있습니다 ㅎㅎㅎ

      양념하지 않은 생갈비가 더 맛있구요
      화장하지 않은 여인이 더 예뻐 보이긴한데
      자신 있어야 그리 하지요
      본질보다 현상을 더 중요시 하니 ....
      명품가방 구입에 줄 섰다 합니다 ㅎㅎㅎ

      • 노루2014.08.30 07:49 

        저는 저 집의 이층 오른쪽 창문은 벽에 꽉 차게 크면 좋겠는데요. ㅎ

        한국에서 살게 되면, 우선 공기가 비교적 맑은 곳, 그러고나서, 적어도,
        집안에선 창문을 열어 놓아도 조용하고 창밖으론 나무나 산이나 바다가
        보이고,걸어서 15분쯤이면 가서 테니스 칠 수 있는 곳이면 좋겠어요.
        그러고도 전철역이 가까워서 차 없이 재낼 수 있으면 좋겠고요. ㅎ

        그런데 그런 곳에도 집 짓는 건, 지형상, 나중에 조망을 가로막을 건물이나
        상점, 그리고 큰길이 집 앞뒤에 생길 가능성이 전혀 없어 보여야 생각해볼
        것 같아요. ㅎ

    • 호박꽃의 미소2014.09.01 02:58 

      입맛도 취향도
      점차 세월이 흐르고 나이들어가면서
      점차 변하나 봅니다.
      당근을 어릴적엔 못 먹었는데
      언젠가 부터
      달작지근한 것이 참 좋더군요.
      물론 생으로만 먹었는데
      살짝 데쳐서 먹으니 아삭하며 부드럽고요.
      식습관도 변화가 필요한가 봅니다.^^

      • 노루2014.09.01 09:25 

        몸에 좋고 맛있으면서도 준비하는 데에 거의 손이 안 가는
        것들이 과일을 비롯해서 충분히 여러 가지 있는 게 얼마나
        고마운지요.

        당근을 먹을 때는 토끼 같은 느낌이 드는 적도 있고요. ㅎ ㅎ

    • 열무김치2014.09.03 09:12 

      아침창을 여니 가을비가 내립니다.
      이 비가 그치면 가을이 한발짝 가까이 다가설것 같습니다.

      전에는 그리 달가워 하지 않던 음식들이 서서히 입맛에 맞는걸 보면 사람 식성도 나이를 따라 가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드네요.
      가령 콩이나 팥, 조 등의 잡곡류를 잘 안먹었는데 그런게 쌀밥보다 구미가 더 당기게 되고 상식하게 되는 경우지요.
      파프리카를 생으로 우걱거리며 먹는 자신을 보고 스스로 놀랐습니다.
      이러 이러한것들을 먹으면 더 좋다더라 하는 말들에 은영중에 몸이 반응하는것 같네요.
      시골에 사는 지인분의 집에 갔더니 양념을 가미하지 않은 식품들을 주로 먹더군요.
      그걸 무슨 맛으로 먹느냐고 했더니 나름마다의 고유의 맛이 있어서 자꾸 먹다보면 그 맛에 매료가 된다는군요.
      해서 나중에는 자연스럽게 먹게 된다구요.
      hopper 의 그림같은 집들이 산골마다 많이 들어 섰습니다.
      보기는 좋은데 막상 들어가 보니 습관에 배인 탓인지 참 어색하더군요.
      안전상을 이유로 아예 철근 콘크리트로 마치 요새처럼 짓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노루2014.09.04 00:27 
      생각에 따라, 몸에 좋다는 게 맛있어지고 몸에 나쁘다는 게 맛없어지게 되기도
      하는 것 같아요. 사람마다 정도에 차이는 있겠지만요.

      사실, 저녁 식사 준비도 커피 끓이는 것보다 조금 더한 수준으로 간단하다 보니
      그게 참 좋더라고요.

      요새 미국 집들은 작은 집도 Hopper 그림의 저 집보다는 창문들이 큰 편인 것
      같아요. 창문의 방열이 예전과 다르게 거의 완벽하게 될 수 있어서기도 하겠지요.

      벽만 아니라 지붕까지 전체가 콘크리트 한 덩어리로 된 집을 춘천에서, 지을 때,
      본 적이 있네요.

      일반 가정 집은 모르겠는데, 한식 음식점은 방 바닥에 앉는 집이 여전히 대부분인
      건 이해가 되면서도 제겐 역시 이상하더군요.
    • 늘 푸른 솔2014.09.06 13:14 

      노루님
      오랫만에 뵙습니다.
      좀 바쁜 시간들이었습니다.
      교수님이 하신 말씀 중에
      낯설던 사람이 친한 사람이 되고
      낯설던 것들이 낯익은 것들이 되는 세상!
      참 아름답고 행복한 세상입니다.
      제가 교수님을 알아가듯이요......

      Hopper의 그림
      처음 보는데요.참 많은 멧세지를 전하는것 같아요
      풍성한 추석 보내시구요

      • 노루2014.09.07 04:47 
        어디 TV 드라마 제작팀에서 연락 없었나요? ㅎ
        연극 무대 주연 스타로 끼를 한껏 발휘하신
        늘 푸른 솔님, 부럽네요. 다시 한 번 축하합니다.

        Hopper 그림의 집 안에 있는 평범한 사람들을
        막연히 상상하게 되는 게 재밌더라고요. 그리고
        저녁 빛이 주는, 위 파란편지님의 표현 대로,
        '몽환적인 아름다움'이 쓸쓸한 느낌 같은 게 들지
        못하게 해주는 것 같아요.

      • 늘 푸른 솔2014.09.07 10:38 

        2013년도 오송 세계뷰티 화장품 박람회때 동안대회에서 대상 수상
        kbs 아침마당을 비롯 많은 방송 출연이 있었지만
        수련원 사정상 출연하지 못한 기억이 납니다
        기회가 된다면 노년의 즐거운 삶이란 주제로 출연하고 싶습니다

     

     

    '짧은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발  (0) 2014.09.29
    뜰에서  (0) 2014.09.14
    어떤 아이  (0) 2014.08.08
    호수  (0) 2014.08.07
    그건 실수였어  (0) 2014.08.03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