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Olav Hauge 의 시 "자동차로도 비행기로도 아니지요"
    2020. 8. 30. 02:42

    자동차로도 비행기로도 아니지요 / 올라브 하우게

     

     

    자동차로 아니지요,

    비행기로 아니지요 --

    건초 나르는 썰매나

    낡은 달구지

    -- 또는 심지어 엘리야의 불마차로도 아니지요!

     

    당신은 결코 바쇼보다 더 멀리 이를 수 없어요.

    그는 걸어서 거기 도달했지요.

     

     

    -- Robert Hedin 의 영역본을 번역.

     

     

     

    하이쿠 시인을 소재로 한 Saiich Maruya 의 소설 "Rain in the Wind" 표지 그림에서.

     

     

    -------------------------------------------------------------------------------

     

    • 여름하늘2020.08.30 15:26 

      "당신은 결코 바쇼보다 더 멀리 이를 수 없어요.
      그는 걸어서 거기 도달했지요."

      강한 비바람속에 간신히 걷고 있는 두사람은
      결코 바쇼보다 더 멀리
      이를수는 없을것 같습니다

      • 노루2020.08.30 23:42

        ㅎ 사케 마시고 나와서 동자(?) 데리고
        저 강풍폭우 속을 비틀거리며 밀고 나가는
        저 사람이 바로 바쇼 시인 같은데요. ㅎ

      • 여름하늘2020.08.31 10:10 

        아하 그렇군요
        삿갓아래 저사람이 바쇼로군요 ㅎㅎ
        저는 '바쇼'는 場所(ばしょ)라는 일본어이기에 장소라고 해석해 버렸답니다 ㅎㅎ

        "강한 비바람속에 간신히 걷고 있는 두사람은
        결코 지금의 장소로 부터 더 멀리
        이를수는 없을것 같습니다" 라구요
        그렇게 해석하고 나니 맨위의 문장과는 좀 안어울리는구나 라는 생각도 했지만요..
        죄송합니다 멋데로 해석했습니다 ㅎ

      • 노루2020.08.31 12:41
        ㅎ 자유롭게 해석하는 게 시 독자의 특권 아닌가요.
        바쇼가 '장소'라는 뜻이군요.

        저 삿갓 쓴 사람은 "Rain in the Wind" 라는 중편 소설에
        나오는, 스님으로 위장한 일본 근대의 유명한 하이쿠
        시인이 아닐까 하는 그 사람을 그린 것 같아요.

        Matsuo Bashō (松尾 芭蕉) 같은 일본 하이쿠 시인이나
        두보 같은 중국 시인의 시들을 울라브 하우게는 번역도
        하고 그 시인들에 대한 시도 쓰고 그랬더군요.

        울라브 하우게가 바쇼의 경지를 저런 존경심으로 표현한
        게 두 시인을 새삼스레 보여주는 것 같아서 좋아요.

    • 교포아줌마2020.08.31 22:16 

      포스팅에서 연상되는 좀 먼 거리의 이야기.

      어느 날 비행기에서
      앞 좌석에 앉아 있었는데
      나이가 하얗게 많으신 할머니가 발을 절룩이며 트렁크를 끌고 통로를 힘겹게 숨차게 열심히 걸어가며

      'I am slow, but I always get there.'

      뒤에 오는 사람들에게 미안하다는 인사를 대신한 말이었을 텐데요.

      귀에 콱 박혔습니다.

      마음이 걸음을 앞서 갔겠지요, 바쇼.^^*

      • 노루2020.09.01 02:33

        동네 도서관 라운지에서는, 주로 기증 받은 거의 다가
        새 책보다 더 새 책으로 보이는, 좋은 책들을 하드카버는
        4불(다른 동네 도서관은 3불) + 세금에 사는데 어떤 때
        20불짜리를 내면 카운터의 (자원봉사자) 할머니가 거스름
        돈 계산하느라 한참 걸리면서 저 비슷한 말을 했던 것
        같아요. 맞아요, 미안하다는 할 말도 하면서 조금
        유머스럽게도요.

        배행기 안 통로가 아닌 다른 데에서, 때로는 친절을
        흔쾌히 받아들이기도 하지만, 도움을 정중히 저런 말로
        사양하고 독립적이기를 즐기려는 할머니도 상상이 되네요.

        주유산천하며 이룬 바쇼의 경지에 엘리야의 불마차를
        탄들 쉽게 가 닿을라고요.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