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테니스 경기에는 끝이 있다
    짧은 글 2021. 1. 28. 03:10

    생명에 대한 생각에 따라

    죽음에 대한 생각도 달라지는 것 같다.

     

    사람이나 다른 생명체나

    생명은 마찬가지라고

    사람이 죽으면 무생물로 바뀌는 것뿐이라고

    어떤 이들은 단순하게 생각한다.

    테니스 경기처럼 우리 삶에도

    끝이 있는 거라고 편안히 생각한다.

     

    모든 생명은 하나고

    죽음은 다시 그 바다에 이르거나

    그 샘으로 돌아가는 거라는

    이런 멋진 상상 또는 심오한 철학이

    어떤 이들에겐 위안이 될까.

    이들은 죽음에 대해 담담할까.

     

    "제 아내는 천국에 간 것을 확신합니다"

    어느 장로가 보낸 편지에서 읽었다.

    믿음이 또는 종교 예식을 따름이

    사후를 보장한다고 어떤 신자들은 말한다. 

    죽음은 이들에겐 안도감 이상이겠다.

    하지만, 죽음이 두려운 사제도 있을 것 같다.

     

    구약 성서에는 왜 내세 얘기가 없을까.

    (반쯤만 읽었으니 내가 잘못 아는 걸까.)

     

    생명과 죽음에 대한 생각에 따라

    그 삶 또한 같지만 다른 삶이겠다.

    "We are what we know"*

    이 구절이 내게 떠올린 것이기도 하다.

     

    쉼보르스카의 시 "위에서 보니"가 생각난다.**

     

         비포장도로에 죽은 딱정벌레가 누워 있다.

         세 쌍의 작은 다리가 얌전히 배 위에 접혀 있다.

         죽음의 혼란 대신 -- 단정함과 질서.

         잡초와 박하 사이의 아주 좁은 공간,

         이 광경의 섬뜩함이 누그러진다.

         슬픔은 전염되지 않는다.

         하늘이 푸르다.

     

                

     

    * Samuel Coleridge 의 이 경구를 에머슨이 자기 저널에 여러 번

      써넣었다고, Robert Richardson, Jr. 의 "Emerson"에서 읽었다. 

     

    ** Wislawa Szymborska, "Seen From Above " (M. J. Krynski

       & R. A. Maguire 영역) 첫 연을 번역 (전문은 세 연).

     

     

     

     

     

     

     

     

     

    '짧은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쁘니 좋다  (0) 2021.03.10
    추운 날의 테니스  (0) 2021.02.13
    새해에는  (0) 2021.01.01
    젊은 날의 우리  (0) 2020.12.30
    사회의 가장 나쁜 암 세포  (0) 2020.11.10
Designed by Tistory.